23년 인상되는 교통비, 한푼이라도 아끼는 법!

0
94

 

안녕하세요.

2023년 하반기부터 교통비가 인상된다고 합니다.

연초부터 물가 급상승으로 식비는 물론 난방비에 교통비까지 오른다고 하니 다들 고민이 생기셨을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지하철과 버스요금을 아끼는데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가져왔습니다.


지하철 버스 통합 정기권 사용하기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첫번째 방법은 통합 정기권을 사용하는 것 입니다!

정기권은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시는 분이 매번 요금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한 달에 한번씩 일시불로 결제를 하고 이용하는 상품으로 보다 저렴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시행되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도 지하철의 경우 정기권이 있어, 서울전용 지하철 정기권은 한 달에 55,000원으로 정상가보다 16회 더 사용할 수 있는 상품을 판매하였습니다.

2023년 6월부터 새롭게 통합 정기권을 시행 예정입니다.

우선 가격은 동일하게 55,00원이며 60회 사용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지하철, 버스 따로 이용을 해야했지만, 새롭게 시행되는 통합 정기권은 지하철과 버스를 가리지 않고 모두 이용 및 환승이 가능해 졌습니다.

게다가 1개월동안 대중교통 이용횟수가 43회 이상으로 정가 이상의 사용을 했다면 나머지 횟수에 대해서는 마일리지로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혜택은 수도권 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이용 가능합니다.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통합 정기권을 이용하면 얼마나 절약이 될까요?

정기권은 결제일로부터 30일간 최대 60회까지 지하철 및 버스의 환승이 가능하도록 운영이 될 예정입니다.

수도권 10km 구간에서 현행 기준 60회 이용시 정가로 75,000원이 필요하지만 정기권을 이용하면 55,000원으로 비용이 약 26.7% 절약이 가능합니다.

만약 이를 30km 구간 기준으로 본다면 37.7%로 5만원 정도 절약이 가능합니다.

매일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하신다면, 통합 정기권 사용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사용하기

출처: 네이버 블로그

두번째 방법은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것 입니다.

알뜰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기 또는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는 제도 입니다.

본인이 이동한 거리와 비용에 따라 책정된 마일리지를 지급해주는 카드 입니다.

거기에 월 카드 사용금액을 충족하면 카드사 추가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어프을 다운 받아서 가입을 진행하면 되고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해당 마일리지는 지원해주는 형태여서 등본 인증 등 거주지 증명이 필요합니다.

서울은 한 때 예산이 빨리 소진돼서 한동안 가입을 못하는 경우도 발생했다고 합니다.

관심 있으시다면 빠른 시일내에 신청하길 바랍니다!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현재 알뜰교통카드는 4개의 종류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청구되거나, 할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카드사 마다 다른 할인 혜택도 있으니,

관심 있는 카드사로 발급 받으시면 됩니다.

최근에는 청년층이 신설되어 기존보다 혜택이 증가했습니다.

최대 30%에서 최대 38%까지 증가해 알뜰교통카드는 적극 추천합니다!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선불카드의 각각 특징입니다.

체크카드

연회비 없음

전원실적 기준 낮음

최소 3,000~5,000원

신용카드

연회비 있음

카드사 별 혜택 다름

최소 5,000~10,000원

선불카드

모바일 캐시비나 원패스로 가능

충전 수수료가 붙는 경우가 있음


지금까지 교통비 아끼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