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 찬 바람과 함께 기온은 영하로 떨어지고 공기는 건조해지게 된다.
추운 날씨 탓에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 시키기도 어려워 여러가지 질병이나 바이러스가
더욱 퍼지기 쉬운 환경이 되는데, 오랫동안 몸을 웅크리고 있거나 활동량이 줄어들어
더욱 몸을 건강하게 관리해야 하는 계절이다.
겨울철 더욱 주의해야 할 질병들과 이에 대한 예방법을 함께 알아보자.

| 독감
독감은 바이러스로 인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목이 아프고 기침이 나며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매년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타나기 때문에 매 해 겨울이 오기 전 예방주사를 맞는 것이 좋다. 특히 어린이, 노인, 합병증이 있는 분 등 면역력이 약한 경우 꼭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외출 후 깨끗이 손씻기, 사람이 많거나 밀폐된 공간에 오래 머물러야 할 경우 마스크 착용하기, 독감이 걸린 사람과의 접촉 피하기, 물 충분히 섭취하기가 있다.

| 뇌졸중
뇌졸중은 초기에 별다른 증상 없이 조용히 나타나기 때문에 한 순간에 위험해지거나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다. 겨울에는 추운 날씨로 인해 혈관이 수축하게 되고, 혈압이 높아져 뇌 혈관에 더욱 문제가 생기기 쉬워 뇌졸중을 더욱 조심해야 하는 계절이다.
금연, 금주를 지키며 싱겁게 먹는 습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도록 하고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좋다.

| 동상
등산, 스키, 스노우보드 등 겨울 스포츠를 즐기다가 동상에 걸리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추위로 인해 피부의 연조직이 얼게 되고 언 부위는 혈액으로부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 받지 못해 물집이 잡히거나 조직이 죽게 되는 증상을 말한다. 귀, 코, 뺨, 손가락, 발가락 등에서 자주 나타나며 심하지 않은 경우 수 시간 내 정상적으로 돌아오지만 심한 경우 피부 괴사로 인해 그 부위를 잘라내야 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우선은 맨 피부가 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장갑, 모자, 양말, 발라클라바 등을 이용해 따듯하게 감싸주고, 전신도 따듯하게 입도록 한다. 또한 손가락과 발가락을 자주 움직여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만약 가벼운 동상에 걸렸다면 38~42도 정도의 따듯한 물에 20~40분 정도 붉은 핏기가 돌아오도록 해당 부위를 담가두는 것이 좋다. 너무 뜨거운 물은 화상의 위험과 오히려 몸이 잘 녹지 않을 수 있어 온도를 잘 조절해야 한다.

| 골절
겨울철에는 눈이 쌓이거나 눈이 녹은 후 다시 얼어서 빙판길이 생기기 쉬운데, 이로 인해 길에서 미끄러져 골절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뼈가 약한 노인분이나 여성의 경우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길에서 미끄러지거나 넘어질 경우를 대비해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장갑을 끼고 걸어야 하며, 미끄럽지 않은 신발 신기, 엉덩이를 보호할 수 있는 두꺼운 소재의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또한 평소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근력을 강화하는 것이 좋다.